2025.6.12. 울산 국가산업단지의 한 공장에서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 누출에 따른 심정지로 사망(1명)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은 강한 염기성을 띠는 독성 물질로 피부나 눈, 호흡기 등에 닿으면 화상과 영구적 손상을 일으킴
◈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 급성중독 과정 및 유해성·위험성 ◈ 가. 건강영향 및 급성중독 과정: 피부노출/화상→피부흡수→신경전달 차단→호흡곤란 ❍ 강염기성 물질로 피부접촉 시 화학적 화상을 일으키며, 신경과 근육에 손상을 줄 수 있고, 노출 시 단기간에 호흡곤란을 일으키거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음 ❍ TMA(Tetramethylammonium) 이온은 신경전달을 차단하는 물질임 ❍ 강염기성의 TMAH 용액으로 인한 화학적 화상은 피부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 나. 유해성·위험성 ❍ 금속을 부식시킬수 있으며, 삼키거나 피부와 접촉하면 치명적임 ❍ 호흡기계 자극을 일으키며, 피부에 심한 화상과 눈에 심한 손상을 일으킴 ❍ 흡입시 알레르기성 반응, 천식 또는 호흡 곤란을 일으킬 수 있음 |
또한, 연구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safety.jnu.ac.kr)에 화학물질 현행화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전남대학교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자료실-안전자료실-연구실 안전관리 매뉴얼’ 참고
붙임 1.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 안내 리플렛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