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전체 |
전체 |
전공 |
감광성고분자 |
GR00455 |
3.0
감광성고분자
전체
전체
|
2 |
전체 |
전체 |
전공 |
계면화학특론 |
GR00755 |
3.0
계면화학특론
전체
전체
본 과정은 고분자 고체표면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표면에너지가 관련된 접착특성을 강조하고, 각종 표면개질의 방법과 최근 통향등에 대해 조사 연구한다.
|
3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공학특론1 |
GR00951 |
3.0
고분자공학특론1
전체
전체
고분자공학의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적용 및 응용 능력의 배양을 위해 고분자 물성, 성형, 가공 및 응용 등의 내용을 제조 공정과 연계하여 다루며, 공정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특히, 고분자공학특론(Ⅰ)에서는 제조공정 및 공정설계를 중심으로 다룬다.
|
4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공학특론2 |
GR00952 |
3.0
고분자공학특론2
전체
전체
고분자공학의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적용 및 응용 능력의 배양을 위해 새로운 고분자 공학기술 및 동향을 고분자 물성, 성형, 가공 및 응용 등의 내용 중심으로 다룬다. 특히, 고분자공학특론(Ⅱ)에서는 고분자 반응, 물성, 성형, 가공 및 응용 기술 중 단위 공정을 위해 필요한 요소 기술을 중심으로 다룬다.
|
5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레올로지특론 |
GR00964 |
3.0
고분자레올로지특론
전체
전체
유변학의 기초이론으로서 rheological model, 점도 및 점도측정기기 등을 강의하며, 각종 rheological model을 여러 flow system에 적용하여 응력, 속도 및 온도분포등을 구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배향시킨다.
|
6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물리화학특론 |
GR00972 |
3.0
고분자물리화학특론
전체
전체
고분자물질이기 때문에 갖는 제반 현상들에 대한 물리적 의미를 파악하게 할 목적으로 고분자의 구조에 대한 해석과 상평형, 중합반응평형등 고분자열역학영역에 대해 이론적인 고찰을 행한다
|
7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시험법특론 |
GR00982 |
3.0
고분자시험법특론
전체
전체
물리적, 물리화학적, 화학적등의 방법으로 결합된 각종의 고분자알로이(polymer alloy)들의 제법, 특성 그리고 알로이설계에 필요한 물리화학적 기초이론과 개발동향등을 다룬다.
|
8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용액특론 |
GR00984 |
3.0
고분자용액특론
전체
전체
고분자재료의 역학적, 열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 등의 실제적인 측정 분석방법을 논하고 측정 원리와 분석결과의 이론적 배경을 다룬다
|
9 |
전체 |
전체 |
전공 |
방사공학특론 |
GR03246 |
3.0
방사공학특론
전체
전체
응용방사시의 섬유형성과 이에 관련된 유변학이 강의된다. 즉, 고분자 용융물의 유변학적 거동, 방사공정의 이해, 섬유형성에 따른 물성의 분석 등이다.
|
10 |
전체 |
전체 |
전공 |
생체고분자특론 |
GR04112 |
3.0
생체고분자특론
전체
전체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성분 중 고분자물질인 핵산, 다당류, 생체막, 단백질, 효소 등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생체 내에서 어떻게 이러한 기증을 나타내는지 그 반응 메커니즘을 다룬다.
|
11 |
전체 |
전체 |
전공 |
섬유물성론 |
GR04321 |
3.0
섬유물성론
전체
전체
섬유의 전기적, 열적 및 광학적 성질을 다루고, 섬유의 분자구조와 결정구조, 결정화 과정과 열처리에 따른 섬유의 표면성질, 물리 화학적 성질을 강의한다
|
12 |
전체 |
전체 |
전공 |
섬유재료학특론 |
GR04337 |
3.0
섬유재료학특론
전체
전체
섬유고분자 구조의 생성과정과 그 형태를 익히고 천연 셀룰로오스의 구조와 화학반응성 및 단백질 섬유의 화학조성과 구조, 구상 아미노산의 화학반응성, 이에 대한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을 강의한다
|
13 |
전체 |
전체 |
전공 |
수용성고분자특론 |
GR04761 |
3.0
수용성고분자특론
전체
전체
이온성, 비이온성 수용성고분자의 수용액에서의 물리 화학적 거동 및 현상을 파악하고 이들의 합성, 개질, 응용 용도에 관한 내용을 배운다
|
14 |
전체 |
전체 |
전공 |
이동현상특론 |
GR06513 |
3.0
이동현상특론
전체
전체
운동량, 에너지 및 물질전달에 관한 이론을 이해하고 화학공업의 제반 조작에서 발생하는 이동현상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기초 지식을 얻는다.
|
15 |
전체 |
전체 |
전공 |
천연고분자 |
GR14652 |
3.0
천연고분자
전체
전체
고무, 셀루로스, 리그닌, 키틴, 실리카, 아루미나 등과 같은 천연고분자의 정제, 구조, 화학반응, 용도에 대하여 공부한다.
|
16 |
전체 |
전체 |
전공 |
전도성고분자 |
GR14656 |
3.0
전도성고분자
전체
전체
전도성고분자의 제조합성, 전기전도메커니즘을 배우고, 고체전해질, 반도체소자, 광전지, 센서 등으로의 이용방법에 관해 논한다.
|
17 |
전체 |
전체 |
전공 |
마이크로캡슐 |
GR16517 |
3.0
마이크로캡슐
전체
전체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다양한 방법 및 마이크로 캡슐의 성질을 알아보고, 각종 재료에 실제로 이용되는 응용기술을 습득한다.
|
18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화학특론1 |
GR16553 |
3.0
고분자화학특론1
전체
전체
고분자 물질의 화학을 보다 심도 있게 학습하고 단량체, 중합반응, 고분자의 개질 등 일련의 고분자합성 과정과 고분자의 물리 화학적 특성의 이론적, 실제적 의미를 예측 파악한다.
|
19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기기분석특론1 |
GR16555 |
3.0
고분자기기분석특론1
전체
전체
고분자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기기분석적 방법으로 열분석, 형광분석, FT-IR, proton NMR, C-13 NMR, GC/Mass, GPC, chromatography 등을 다루며 기본이론, 스펙트럼해석, 고분자물질에 대한 응용 등을 다룬다.
|
20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기기분석특론2 |
GR16556 |
3.0
고분자기기분석특론2
전체
전체
고분자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기기분석적 방법으로 열분석, 형광분석, FT-IR, proton NMR, C-13 NMR, GC/Mass, GPC, chromatography 등을 다루며 기본이론, 스펙트럼해석, 고분자물질에 대한 응용 등을 다룬다.
|
21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전자재료 |
GR16557 |
3.0
고분자전자재료
전체
전체
인쇄, IC 가공용, PCB 가공용 감광성수지와 플래스틱광섬유, 비선형광학재료, LCD용 고분자, IC 봉지제, 자기 테이프, 광기록 disk 등에서 사용되는 고분자재료의 종류와 특성에 대하여 논한다.
|
22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복합재료 |
GR16565 |
3.0
고분자복합재료
전체
전체
이종 재료의 복합에 의한 필요 특성의 발현과 복합화된 재료의 응용성에 대한 기초 개념을 다루고, 유기복합재료를 구성하는 기줄수지(matrix resins)와 강화재료, 충전재료의 특성을 논한다.
|
23 |
전체 |
전체 |
전공 |
유화중합 |
GR16566 |
3.0
유화중합
전체
전체
유화 및 분산중합에 의한 고분자콜로이드생성에 대한 해석과 콜로이드입자크기분포, 표면전하, 콜로이드의 안정성 등에 관한 고찰 및 고분자콜로이드의 응용에 대한 사례와 특징들에 대해 알아본다.
|
24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분리막 |
GR16567 |
3.0
고분자분리막
전체
전체
새로운 분리기술인 막분리에 대한 현재의 동향과이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막의 개념과 종류, 각종 막분리공정의 특징, 고분자막의 제조방법, 그리고 막 이동현상에 대한 수학적 이론의 고찰등을 강의한다.
|
25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가공특론1 |
GR16568 |
3.0
고분자가공특론1
전체
전체
각종 고분자가공 공정, 즉 압출, 사출, coating, calendering 및 mixing에 대한 공정해석, modeling 및 설계에 관한 지식을 습득시킨다. 이밖에 가공공정에서의 stability, 응력변화, 열전달 특성 등에 관해 강의한다.
|
26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가공특론2 |
GR16569 |
3.0
고분자가공특론2
전체
전체
각종 고분자가공 공정, 즉 압출, 사출, coating, cal- endering 및 mixing에 대한 공정해석, modeling 및 설계에 관한 지식을 습득시킨다. 이밖에 가공공정에서의 stability, 응력변화, 열전달 특성 등에 관해 강의한다.
|
27 |
전체 |
전체 |
전공 |
기능성고분자특론1 |
GR17106 |
3.0
기능성고분자특론1
전체
전체
전기특성, 광학특성, 감광성, 분리특성 및 의료생체 기능 등을 갖는 기능성고분자의 합성, 물성, 처리 및 응용 등을 다룬다
|
28 |
전체 |
전체 |
전공 |
기능성고분자특론2 |
GR17107 |
3.0
기능성고분자특론2
전체
전체
전기특성, 광학특성, 감광성, 분리특성 및 의료생체 기능 등을 갖는 기능성고분자의 합성, 물성, 처리 및 응용 등을 다룬다.
|
29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화학특론2 |
GR17195 |
3.0
고분자화학특론2
전체
전체
고분자 물질의 화학을 보다 심도 있게 학습하고 단량체, 중합반응, 고분자의 개질 등 일련의 고분자합성 과정과 고분자의 물리 화학적 특성의 이론적, 실제적 의미를 예측 파악한다.
|
30 |
전체 |
전체 |
전공 |
색채과학특론 |
GR18426 |
3.0
색채과학특론
전체
전체
색의 물리적 감각적 정의와 그의 표시. 측정방법을 다룸과 동시에 주어진 색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
31 |
전체 |
전체 |
전공 |
산업섬유재료특론 |
GR20414 |
3.0
산업섬유재료특론
전체
전체
핵심성능, 제품화기술, 응용을 포함한 산업섬유재료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최신 동향을 다룬다.
|
32 |
전체 |
전체 |
전공 |
섬유기능설계특론 |
GR20415 |
3.0
섬유기능설계특론
전체
전체
가공제와 섬유고분자의 반응과 메커니즘, 가공제의 구조와 가공제품의 기능과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을 다룬다.
|
33 |
전체 |
전체 |
전공 |
엘라스토머공학특론 |
GR21471 |
3.0
엘라스토머공학특론
전체
전체
고무배합물의 설계, 가공공정 및 분석법 등을 다룬다. 구조-물성 상관 관계, 고무탄성이론, 보강이론 등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
34 |
전체 |
전체 |
전공 |
저차원탄소재료 |
GR21676 |
3.0
저차원탄소재료
전체
전체
이 강좌는 저차원 탄소재료의 제조, 물성 및 응용분야에 대해 취급한다. 대표적인 저차원 탄소재료로서 탄소원소로 이루어진나노튜브, 그래핀, 플러렌 및 카빈이 존재한다. 이러한 재료들은 저차원화에 기인하여 독특한 물성을 보이며 미래형 전자장치 등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
35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기능성섬유 |
GR21678 |
3.0
고기능성섬유
전체
전체
고기능성 섬유는 범용 섬유에 비해 강도, 탄성율, 내열성, 내화학성, 내구성 등이 매우 우수한 고기능선 기반의 섬유 신소재로서 고강도, 고탄성, 초내열성 등의 부여하는 소재 및 고정기술을 강의한다.
|
36 |
전체 |
전체 |
연구 |
연구지도1 |
GR21999 |
3.0
연구지도1
전체
전체
담당교수와 대학원생이 연구주제를 정하고, 연구수행에 대한 계획서, 중간보고서, 결과보고서(활동내역 및 실험노트 등)를 시기별로 담당교수에 게 제출하면 담당교수가 학점 인정 여부를 결정
|
37 |
전체 |
전체 |
연구 |
연구지도2 |
GR22000 |
3.0
연구지도2
전체
전체
담당교수와 대학원생이 연구주제를 정하고, 연구수행에 대한 계획서, 중간보고서, 결과보고서(활동내역 및 실험노트 등)를 시기별로 담당교수에 게 제출하면 담당교수가 학점 인정 여부를 결정
|
38 |
전체 |
전체 |
연구 |
연구지도3 |
GR22001 |
3.0
연구지도3
전체
전체
담당교수와 대학원생이 연구주제를 정하고, 연구수행에 대한 계획서, 중간보고서, 결과보고서(활동내역 및 실험노트 등)를 시기별로 담당교수에 게 제출하면 담당교수가 학점 인정 여부를 결정
|
39 |
전체 |
전체 |
연구2 |
연구연수1 |
GR23476 |
3.0
연구연수1
전체
전체
학기 중 대학원생이 외부기관(국내 또는 해외 연구기관 및 대학)의 연수 프로그램 등에 2개월 이상~3개월 미만 참여하여 해당기관에서 연구와 관련한 제반 활동을 수행하고 결과자료를 제출하면 학점으로 인정
|
40 |
전체 |
전체 |
연구2 |
연구연수2 |
GR23477 |
6.0
연구연수2
전체
전체
학기 중 대학원생이 외부기관(국내 또는 해외 연구기관 및 대학)의 연수 프로그램 등에 3개월 이상 참여하여 해당기관에서 연구와 관련한 제반 활동을 수행하고 결과자료를 제출하면 학점으로 인정
|
41 |
전체 |
전체 |
전공 |
경량복합재료 |
GR23679 |
3.0
경량복합재료
전체
전체
최근 개발되고 있는 인공지능 자동차 및 드론 등의 구조용 복합소재의 추세는 탄소소재 및 기타 섬유소재를 강화한 복합소재의 경량화이다. 본 강의에서는 탄소소재, 고분자소재 및 세라믹소재의 섬유로 강화된 복합소재의 다양한 경향화 최신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또한 고분자 소재 내에 섬유를 강화 시 발생하는 강화 메커니즘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
42 |
전체 |
전체 |
전공 |
나노-마이크로물질이동특론 |
GR23693 |
3.0
나노-마이크로물질이동특론
전체
전체
본 강의는 학생들에게 물질 이동현상 원리를 사용하여 물리적 문제를 설명, 분석 그리고 해석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학생들이 다양한 공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동현상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미시적 그리고 거시적 균형 원리간의 관계를 활용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한다.
|
43 |
전체 |
전체 |
전공 |
다기능성나노입자 |
GR23694 |
3.0
다기능성나노입자
전체
전체
나노입자는 화학을 중심으로 광학, 물리학, 전기전자공학, 바이오 등의 넓은 학문 범위를 포함하는 기초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강의에서는 나노입자의 기초 개념, 실험방법 및 활용방법, 그리고 나노입자, 마이크로캡슐, 야누스 파티클, 양자점 등을 이용한 산업적 응용을 주로 다룬다. 바이오 센서, 태양전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이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의 에너지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사례를 소개한다.
|
44 |
전체 |
전체 |
전공 |
미세유체역학 |
GR23695 |
3.0
미세유체역학
전체
전체
미세유체역학은 미시세계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에 대해서 다루는 기초학문이다. 미시세계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은 혈관 내에서의 혈액의 흐름, 전기영동으로 인한 DNA 의 분리 등 바이오/에너지/IT 등의 여러 가지 분야에서 학제 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분야이다. 본 강의에서는 미시세계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거동에 대하여 소개하고, 미세유체역학이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분야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메커니즘에 대하여 살펴본다.
|
45 |
전체 |
전체 |
전공 |
수학및전산과학특론 |
GR23696 |
3.0
수학및전산과학특론
전체
전체
본 강의에서는 고분자 공학 연구에 필요한 수학적 개념 및 방법론과 컴퓨터 활용법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심화된 선형대수, 미분방정식, 복소해석 등을 통하여 공학적 문제를 수학적으로 기술, 분석 설계하는 능력 함양을 하게 될 것이다. 컴퓨터를 활용한 다양한 문제처리 및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는 실습 또한 진행하여 관련 능력을 함양할 것이다. 또한 통계 및 데이터 처리 능력, 기계학습과 관련된 이론 및 실습을 진행한다.
|
46 |
전체 |
전체 |
전공 |
에너지환경용막분리공학 |
GR23697 |
3.0
에너지환경용막분리공학
전체
전체
본 강의는 막의 개념 정립과 막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응용하는 모든 과정을 막의 분류에 따라 소개한다. 막의 개념 및 분류, 막분리 기술의 종류와 기초 이론, 그리고 현재까지 개발된 에너지 및 환경용 분리막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막분리 기술의 수학적 기초 이론 등에 대해서 수업하여 학생들이 전반적인 막분리 원리에 대해서 이해하도록 한다.
|
47 |
전체 |
전체 |
전공 |
연구논문작성법특론1 |
GR23698 |
3.0
연구논문작성법특론1
전체
전체
본 강의는 연구주제 및 결과를 국어 및 영어로 효과적으로 발표하는 방법론을 실습을 통하여 함양하고자 한다. 모의 발표와 녹화본 확인 등을 통하여, 본인의 연구주제와 목표를 명확히 전달하는 능력, 청중의 관심을 유지하며 연구결과 및 내용을 기술하는 능력, 슬라이드를 만드는 방법, 질의응답 방법 등을 배우게 될 것이다.
|
48 |
전체 |
전체 |
전공 |
연구논문작성법특론2 |
GR23699 |
3.0
연구논문작성법특론2
전체
전체
본 강의는 연구주제 및 결과를 국어 및 영어로 효과적으로 발표하는 방법론을 실습을 통하여 함양하고자 한다. 모의 발표와 녹화본 확인 등을 통하여, 본인의 연구주제와 목표를 명확히 전달하는 능력, 청중의 관심을 유지하며 연구결과 및 내용을 기술하는 능력, 슬라이드를 만드는 방법, 질의응답 방법 등을 배우게 될 것이다.
|
49 |
전체 |
전체 |
전공 |
유기반도체 |
GR23700 |
3.0
유기반도체
전체
전체
본 강의에서는 차세대 전자 및 광전자소자의 핵심소재로 관심을 받고 있는 유기 반도체 재료의 전자 및 광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기본 원리와 개념을 소개하고, 이물질이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OFETs), 센서(sensors), 유기발광다이오드(OLEDs), 유기태양전지(OPVs) 등과 같은 전자 및 광전자 소자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본다.
|
50 |
전체 |
전체 |
전공 |
유연전자소자 |
GR23701 |
3.0
유연전자소자
전체
전체
본 강의에서는 유연 유기박막소자 재료 및 코팅기술들을 소개하고, 코팅공정이 박막의 구조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더 나아가, 유기박막을 기반으로 하는 유연 유기트랜지스터, 발광다이오드, 센서, 태양전지 등의 작동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
51 |
전체 |
전체 |
전공 |
응용열역학특론 |
GR23702 |
3.0
응용열역학특론
전체
전체
본 강의는 열역학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하는 상평형과 열역학 문제 해결 능력을 다룬다. 시스템이 평형에 도달할 때 학생들은 적절한 상관관계를 선택하고 이를 사용하여 열역학적 특성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열역학의 고분자 공학 그리고 에너지 응용과 같은 실용적 응용에 대해서 다룬다.
|
52 |
전체 |
전체 |
전공 |
전기화학재료특론 |
GR23703 |
3.0
전기화학재료특론
전체
전체
본 강의는 전기 화학의 재료와 원리 및 전기 화학적 에너지 변환에 대한 응용을 소개한다. 전기 화학 재료로는 기능성 고분자와 다공성 물질 그리고 그들의 복합체를 포함한다. 본 강의는 공학적 원리에 기초하여 다양한 전기 화학 장치에 대한 재료의 합성, 특성 분석 및 성능 평가를 다룬다.
|
53 |
전체 |
전체 |
전공 |
전산재료역학 |
GR23704 |
3.0
전산재료역학
전체
전체
본 과목에서는 연속체역학 관점에서 재료의 역학을 배우고, 전산해석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재료를 디자인한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고체 및 유체 역학을 심도 있게 배우고 재료의 기계적, 열적, 전기적 및 유변학적 특성 등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매틀랩 코딩을 통하여 해석한다.
|
54 |
전체 |
전체 |
전공 |
통계역학특론1 |
GR23705 |
3.0
통계역학특론1
전체
전체
본 강의에서는 열역학 법칙 및 상거동등과 관련된 열역학의 기본 원리 및 이론을 이해하고, 이런 거시적 물질이 갖는 일반적 특성을 통계역학 개념의 틀에서 소개한다. 통계역학을 통하여 미시역학과 거시적 물성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고분자 관련 연구에서 접하는 다양한 종류의 상평형, 화학반응 및 열역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특히 분자열역학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고분자 시스템에 대한 분자시뮬레이션의 기본 원리 및 실습 또한 진행된다.
|
55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합성특론 |
GR23706 |
3.0
고분자합성특론
전체
전체
고분자는 중합방법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갖게 되며 이는 고분자의 물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강의에서는 최근에 발표된 새로운 고분자의 합성법을 원리 및 응용의 관점에서 알아보고, 특히 분자량 및 단량체 서열을 제어하며 고차원적인 구조 설계를 위한 정밀중합반응에 대해 다룬다.
|
56 |
전체 |
전체 |
전공 |
기능성탄소재료1 |
GR23707 |
3.0
기능성탄소재료1
전체
전체
탄소재료를 기능에 따라 구분하고 그 기능을 구조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이해한 후 제조 기법을 익힌다.
|
57 |
전체 |
전체 |
전공 |
나노유기전자재료 |
GR23708 |
3.0
나노유기전자재료
전체
전체
고급 유기고분자, 혼합이종 재료, 나노구조 재료 (연성재료라고 총칭함)등이 본 과정에서 학습할 내용이다. 본 과정은 기능성 유기재료의 구조적 특징관계, 기계적, 열적, 전기적, 광학적과 전기광학적 특징을 전자와 광학을 위해 학습한다. 더불어 최근 증착기술과 나노단위로 구조분석 방법도 학습하게 된다.
|
58 |
전체 |
전체 |
전공 |
유기전자재료및디바이스 |
GR23709 |
3.0
유기전자재료및디바이스
전체
전체
연성 디스플레이는 평판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최근 가장 많이 연구되는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유연평판 디스플레이는 거의 모든 공학과 과학 분야의 기본이론이 결합된 의미에서 학문이 융합된 유일한 분야이다. 본 과정에서 정보용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재료와 디바이스를 학습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유기재료를 기본으로 하는 유기발광 소자 (OLED), 액정디스플레이 소자(LCD)와 유기트랜지스터 (OTFT)를 학습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유연 디스플레이에 응용할 각각의 구성 디바이스의 응용도 다룰 예정이다.
|
59 |
전체 |
전체 |
전공 |
에너지용탄소재료 |
GR23712 |
3.0
에너지용탄소재료
전체
전체
이 강좌에서는 결정성 탄소재료의 하나인 흑연구조를 포함하는 탄소재료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다. 이러한 탄소재료의 층간 저장특성과 세공표면의 흡착특성을 이용해서 이온의 intercalation, 가스나 이온 물질의 흡장 특성을 이용한 에너지 전환/저장현상과 유해 물질의 분리저장 및 분해의 특성이 이용된 환경오염 문제 해소 등의 현상과 원리 등이 강의된다.
|
60 |
전체 |
전체 |
전공 |
분자설계합성특론 |
GR23715 |
3.0
분자설계합성특론
전체
전체
탄소-탄소 공유결합을 포함한 금속결합, 이온결합은 재료들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화학결합에 해당한다. 본 강의에서는 해당 화학결합들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학 반응의 기본적인 메커니즘 및 반응 조건, 특성에 대해 다룬다.
|
61 |
전체 |
전체 |
전공 |
탄소섬유구조및물성 |
GR23716 |
3.0
탄소섬유구조및물성
전체
전체
이 강좌에서는 상용화 되어 있는 탄소섬유, 즉 PAN계, 피치계, 레온계의 제조 공정과 그 원료에 따를 물성을 소개한다. 탄소섬유의 물성은 그 미세구조와 결정 및 결정 배향 특성에 따라서 달라지며 그 특성들은 제조공정과 원료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러한 탄소섬유의 특성을 소개하고 물성에 따라서 응용되는 자동차 및 항공기 복합재료 및 구조재료 등의 상용화 분야를 소개한다.
|
62 |
전체 |
전체 |
전공 |
전공세미나 |
GR23723 |
3.0
전공세미나
전체
전체
고분자 그리고 섬유관련 기업의 학과졸업선배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월드클래스 연구자들의 초청 강의을 통해 산업계/세계연구의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한 학습을 그 목표로 한다.
|
63 |
전체 |
전체 |
전공 |
나노구조체특론1 |
GR23724 |
3.0
나노구조체특론1
전체
전체
다양한 나노구조체 제작 기술은 나노 일렉트로닉스와 나노 포토닉스에 잠재적인 응용을 갖고 있는 2-3차원 구조의 제조에 필요하다. 특히, 나노 제작기술은 인쇄전자 반도체 소자와 분자 전자분에서 점점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본 과정은 나노기술과 틀에 얽매이지 않은 소프트리소그래피, 나노임프린트와 이광자 리소그래피등과 같은 마이크로/나노 제작기술을 학습하게 된다.
|
64 |
전체 |
전체 |
전공 |
ICT융합섬유개론 |
GR24177 |
3.0
ICT융합섬유개론
전체
전체
“ICT융합섬유개론”교과목에서는 다양한 ICT융합섬유 산업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환경 분석, 트렌드 등을 학습하여 창의적인 ICT융합 제품을 설계 할 수 있는 기초 소양을 교육함.
|
65 |
전체 |
전체 |
전공 |
고분자구조와물성 |
GR31174 |
3.0
고분자구조와물성
전체
전체
고분자의 화학구조, 분자량, 분자간 구조 및 몰폴로지 등이 고분자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며, 특히 화학 구조와 물성간의 상관관계와 각 구조 인자로부터 물성의 예측에 대해 공부한다.
|